루시드드림(자각몽) 용어정리 1편 | 자각몽 방법편 | 엠손 MSONE
[ Lucid Dream 방법 ]/● 가이드 Guide 2020. 11. 6. 13:48 |
오늘은 루시드 드림, 자각몽, 유체이탈, 아스트랄 프로젝션
이런 용어에 대해 정리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용어마다 기준이 되는 것들도 있지만
또 어떠한 용어들은 사람마다 내면적인 이해와 경험에 따라 차이가 나는 부분도 있으니
이점 참고 부탁드리며 여러분의 모든 의견을 존중합니다.
그리고 혹시 경험자분들 중 자신만의 노하우나 공유하고 싶은 사연과 방법들이 있다면
메일로 제보 부탁드립니다.
먼저 루시드 드림, 자각몽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 중
루시드드림은 무엇이고 자각몽은 무엇인지 두 개가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분들도 적지 않게 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한번 짚어드리자면 루시드드림에 루시 드는 의식이 있는,
또는 자각한다는 뜻을 가졌고 드림은 여러분들 모두 알고 계시겠지만 꿈이라는 뜻입니다.
이 루시드드림을 한국어로 해석하면 꿈을 자각한다는 뜻으로 자각몽과 똑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한 번 더 정리드리자면 자각몽과 루시드드림은 같은 말이다. 입니다.
그렇다면 루시드드림 이 자각몽이란 또 무엇일까요?
댓글로 많이 남겨주시는 질문 중 하나가
이게 자각몽이 맞나요? 제가 꾼 꿈이 루시드드림인가요? 라는 질문이 있는데요
너무 당연한 말이지만 루시드드림, 자각몽이란
말 그대로 꿈속에서 꿈이란걸 자각했을 때가 자각몽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여기서 오해하시는 분들은 꿈을 기억하는 것과 꿈을 자각하는 것에 대한 오해가 있으신 것 같은데요
어느 특정한 자극을 통해 뇌가 깨게 되는 경우 그 꿈을 기억하게 되는데
보통 이런 경우는 무서운 꿈, 떨어지는 꿈, 사고가 나는 꿈,
가위눌림 같은 자극적인 상황에서 일어날 수 있는 것입니다.
보통 이런 경우는 꿈을 기억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루시드드림의 경우 이런 자극적인 상황 대신
꿈 표식이라는 것을 활용하여 뇌를 깨우고 꿈의 상황을 인지하고
그다음 의심을 하고 바로 자각하는데 그 순간이 자각몽을 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루시드드림에는 크게 딜드와 와일드 두 가지가 있습니다.
딜드를 먼저 설명해 드리자면 딜드의 일반적인 개념은 잠에 들고 나서
꿈속에서 자각하게 되는 경우라고 보시면 됩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리자면 딜드에도 두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잠에 들고 의식을 잃는 것 까지는 동일하지만
하나는 꿈이 시작하자마자 자각하는 것과
다른 하나는 꿈이 시작하고 나서 꿈속에서 있다가 꿈 표식이나 특정한 자극점에 의해 자각을 하게 되는 것.
이 두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이걸 딜드라고 얘기를 합니다.
딜드에 대한 방법은 설명글에 링크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근데, 꿈 표식 찾는 방법과 명상, 이완 편은 현재 음성변조가 되어있어서
내용 좀 더 정리한 다음 한 번 더 재 업로드 할 예정이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마지막으로 와일드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자면
와일드는 눈을 감고 계속 의식을 가진 상태에서 꿈속으로 들어가게 되는 경우를 와일드라고 합니다.
와일드에도 두 가지의 경우가 있습니다. 바로 유체이탈 방법과 영상 화법입니다.
두 방법의 과정은 과도기까지는 동일하지만 그 이후 유체이탈로 꿈속으로 들어갈 것인지
앞에 영상화된 장면이 나타나면 그 꿈속으로 들어갈 것인지의 차이로 보시면 됩니다.
이 두 가지의 큰 차이점 시점에 차이가 좀 크다고 생각합니다.
설명해 드리자면 이 유체이탈 방법은 실제의 몸에서 아스트랄 바디를 빼내는 것인데
혹시 아스트랄 프로젝션 이라고 많이들 들어보셨나요?
한국에서 말하는 유체이탈을 외국에선 아스트랄 프로젝션이라고 말합니다.
두 개는 같다고 보시면 될 것 같고, 제가 말한 아스트랄 바디는 꿈속의 몸을 아스트랄 바디라고 칭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유체이탈은 1인칭 시점입니다.
저 자신이 유체이탈을 한다는 기분으로 제 몸속에서 아스트랄바디가 빠져나오는데
그렇기 때문제 그 빠져나온 아스트랄 바디가 1인칭시점으로서 꿈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죠
다음 영상화 기법으로 꿈속으로 들어가는 방식은
와일드 진행 중 과도기를 넘기고 나면 눈앞에 영상화된 꿈들이
필름지 나가듯이 촤르륵 지나가게 됩니다.
저 같은 경우는 필름이 지나가는 걸 많이 경험하였고 이건 사람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그냥 화면 슬라이드 넘어가듯 지나가는 경우도 있고 그냥 하나의 꿈을
내가 관찰자인 3인칭 시점으로 바라보게 될 때도 있는데요
그러다가 하나의 영상 속으로 들어가게 되고 한사람에게로
내가 빨려 들어간다라는 감각과 함께 꿈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그 꿈속 영상과 꿈속의 사람은 제가 의도할 수도 있고
제 의지와 상관없이 빨려 들어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처럼 와일드의 경우는 의식 자체가 깨어있는 상태로 꿈에 들어가는 과정을
모두 경험하고 꿈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딜드보다 꿈이 더욱 실감 나고 신비한 경험을 하게 됩니다.
딜드의 경우는 잠에 들고 꿈이 시작하고 난 뒤에 의식이 깨어나기 때문에 그런지
꿈속이 불안정하고 금방 깨어날 때도 있고 꿈이 뿌옇거나 흐리흐리 하거나 어두운 경우가 많습니다.
예시를 들자면 와일드는 유선 랜선으로 인터넷을 하는 것 처럼
안정적으로 꿈에 연결이 되어 있다 보시면 되고
딜드는 무선 와이파이를 통해 인터넷을 해서 불안정한 환경이라고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설명드린 딜드와 와일드의 난이도를 알려드리자면
사람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보통 처음 하시는 분들은 딜드가 성공확률이 높습니다.
그러니 우선 딜드 방법을 숙지하신 뒤 시도와 경험을 해보시고
와일드도 무리 없이 시도해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와일드도 두 가지 방법 중 영상화기법을 먼저 경험하신 뒤
유체이탈 방법으로 넘어가시는걸 추천드립니다
'[ Lucid Dream 방법 ] > ● 가이드 Gui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루시드드림 | 와일드할때 과도기부터 꿈속까지 들어가는 과정 | 엠손msone (0) | 2020.11.23 |
---|---|
루시드드림 과도기 | 제가 경험한게 과도기가 맞을까요?? | 자각몽 루시드드림 방법 (0) | 2020.11.19 |
꿈을 오래 유지하는 방법 (핵심만 정리) | 자각몽 루시드드림 (0) | 2020.11.19 |
루시드드림(자각몽) 꿈에서 일어나는법 #1 (2) | 2020.11.14 |
루시드드림, 자각몽 실패하는 이유 | 자각몽 하는법 (0) | 2020.11.09 |